세계농업유산 - 상수리나무 숲과 저수지가 연계된 구니사키반도・우사의 농림수산순환

Tweet
  • 세계농업유산 - 상수리나무 숲과 저수지가 연계된 구니사키반도・우사의 농림수산순환
  • 브로셔
  • 웹 사이트 맵
  • 일본어
  • 영어
  • 중국
  • 대만
  • 한국
  • 신착 정보
  • 구니사키반도・우사의 농림수산순환
  • 구니사키반도·우사지역 갤러리
  • 문의

구니사키반도・우사의 농림수산순환

구니사키반도·우사지역

후타고산계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산 줄기와 깊은 계곡으로 이루어진 구니사키반도

논농사에는 혹독한 자연환경

구니사키반도 우사지역은 규슈의 북동부, 세토나이카이의 남단에 돌출되어있는 반도를 중심으로 한 4개의 시 1정 1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형은 중앙부에 있는 후타고산계의 봉에서 방사상으로 뻗은 능선과 깊은 계곡으로 이루어지며, 평야는 좁고 짧은 가파른 하천이 많습니다. 또 강수량은 적은데다가 빗물이 침투하기 쉬운 화산성 토양이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물」의 확보가 어려웠던 지역입니다.

구니사키반도
면적
1,323.75㎢
인구
180,572명, 농림어업자수14,842명(2010년3월)
기후
온대습윤기후(세토나이카이식 기후)
주요산업
농림수산업, 정밀기기의 제조업
평균 강수량 비교
평균 강수량 비교
구니사키반도의 행정 구분

지형적 제약이 낳은「저수지」를 복수연계된 용수공급 시스템

안정적으로 논농사를 짓는 데 필수불가결한 저수지군의 역사는 11세기 개전 시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측되지만 대부분은 19세기의 인구 증가에 따라 정비되었습니다. 지형적 조건에서 대규모 저수지를 축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조상들은 여러 개의 소규모 저수지를 연계시키고 필요한 수량을 확보하는 기술을 확립했습니다. 이에 따라 서로의 수익의 물 수급을 평준화하면서 귀중한 물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물 부족 해소를 꾀하고 있습니다. 또 저수지 사이를 잇는 수로를 개방함으로써 집수 구역을 확대해 더 많은 빗물을 저수지에 모아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복수연계식의 저수지군 관리 시스템

구니사키시 츠나이 지구에는 6개의 저수지를 연계한 시스템이 에도시대부터 지금까지 운용되고 있습니다. 최상류에있는 타카오이케 저수지는 논벼의 생육 후기용으로 저수되고 그 전 기간에는 중류 지역의 3개와 하류 유역의 2개 저수지가 보수하며 급수합니다.

저수지의 분포도

이 지역에서는 용수공급시스템을 계속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지식과 경험을 전승하고 있습니다. 저수지에 관한 조작 및 관리를 맡기는 「이케모리」라는 역할이 있으며, 논의 물수급 평준화와 적은 양의 물을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사용하기 위한 취수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후타고산 정상에서 방사상으로 퍼지는 하천 각각에서 이 시스템이 유지 관리되고 있는 점이 이 지역 논농사의 특징입니다.

미사코이케 저수지 (구니사키시)
미사코이케 저수지 (구니사키시)

상수리나무의 순환 시스템과 식량생산 시스템

일본 최대의 상수리나무 숲과 다면적기능

오이타현의 상수리나무 축적량은 일본 최대로 전국의 약 24%를 차지합니다. 그 중에서도 이 지역의 삼림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수리나무 숲의 비율은 현 평균 를 웃도는 11.5%입니다. 이는 특징적인 지리 조건과 자연 환경이 상수리나무의 생육에 적합하여, 사람들이 생활의 양식으로서 표고버섯 재배의 원목과 신탄 용재로 쓰기 위해 산에 계속 나무를 심어왔기 때문입니다.

국내 상수리나무 축적량

상수리나무 숲 관리와 원목 표고버섯 재배

상수리나무는 잘라내도 그루터기부터 계속 자라나기 때문에, 목재 자원이 순환한다는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림된 상수리나무 숲은 적정 관리를 거쳐 약 15년 후에 원목 표고버섯 재배에 적합한 크기가 됩니다. 성장한 상수리나무는 가을에 벌목된 후 표고버섯 생산에 이용됩니다. 벌목 후 상수리나무 그루터기에서 이듬해 봄 싹이 트며, 성장에 필요한 일조와 양분을 확보하기 위해 벌초 작업을 합니다.

벌초된 잡초는 다음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고 천천히 분해되면서 상수리나무의 성장을 돕는 영양소가 되며, 낙엽 및 표고버섯 재배로 사용되었던 원목도 부식 후 미네랄이 풍부한 흙이 되어 팽연한 대수층을 형성합니다. 또 싹이 트고 2~3년 후에는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싹을 2~3개만 남겨놓으며, 상수리나무 숲은벌목되고 약 15년 후에 원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크기로 재생됩니다.

  1. 상수리나무 숲의 신진대사
  2. 원목 토막치기
    벌목하고 1~2개월 후에 1~1.2m 길이로 자른다
    종균 접종 [1~3월]
    토막치기한 원목에 전기 드릴로 구멍을 뚫어 표고버섯 균사가 들어간 종균을 심는다
  3. 눕히기 [1~3월]
    종균을 접종한 원목은 표고버섯의 균사가 성장하기 쉬운 장소에 눕힌다. 통풍이 잘 되고 햇빛이 직접 닿지 않도록 상수리나무 가지로 덮는다. 이를 「카사기(가로대)」라고 한다.
  4. 재배장으로 이동
    伏入后的第2年秋天,将原木转移至适合香菇生长的地方(榾场)。原木上长出香菇时被称为“养香菇段木”。
  5. 발생, 채취
    표고버섯은 주로 봄과 가을에 자란다. 적당한 크기가 되면 줄기 부분을 살짝 비틀어서 채취한다.

특유의 재배장 관리에 따른 원목 건표고버섯 재배

품질 좋은 원목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포인트는 재배장과 살수입니다. 이 지역은 겨울에 강수량이 적고 저온이기 때문에 수분이 필요한 표고버섯의 발생 시기에는 저수지를 살수에 이용하는 등 연구하며 원목 표고버섯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배장도 통상 이용하는 삼나무 등의 침엽수림이 아니라 적당한 조도와 온도가 확보될 수 있는 활엽수림을 「밝은 재배장」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햇볕 또는 건조기 등에서 건조시킨 원목 건표고버섯은 형상이나 빛깔에 따라「돈코(冬菇)」「코우코(香菇)」「코우신(香信)」등으로 나뉩니다. 이 지역에서는 특유의 뛰어난 재배 기술에 의해서 「챠바나돈코(茶花冬菇)」와「코우코」라는 귀중하고 고품질인 원목 건표고버섯이 생산되고 있어 오이타현은 전국 건표고버섯 품평회에서 20년 연속, 통산 52번의 단체 우승(2018년 현재)을 차지하는 등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건 표고버섯 생산량

  • 1위 오이타현 생산량…1,044t(비율41%)
  • 2위 미야자키현 생산량……417t (비율16%)
  • 3위 구마모토현 생산량……203t (비율8%)
돈코
늦겨울에서 초봄까지 추운 시기에 천천히 성장합니다. 가장자리가 굵게 말리며, 갓은 두껍고 전체가 둥그스름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코우코
이른 봄부터 중춘에 걸쳐 자랍니다. 돈코에 비해 크기가 크고 두꺼우며 풍미와 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코우신
중춘부터 늦봄에 걸쳐 발생하며, 갓이 활짝 피기 시작하면 채취합니다. 갓의 모양은 얇고 평평합니다.

목차 메뉴

  • 세계농업유산 란 무엇인가
  • 구니사키반도·우사지역
  • 농림 수산업 시스템
  • 농림 수산물 및 생태계
  • 농업 및 식량 문화
  • 컨셉 북
Page Top

Copyright© The Kunisaki Peninsula Usa GIAHS Promotion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